충남도 농업기술원은 17일 털진드기의 활발한 활동 시기가 다가옴에 따라
야외 농작업 시 쯔쯔가무시증 예방에 주의를 기울일 것을 강조했다.
쯔쯔가무시증은 쯔쯔가무시균을 가진 털진드기 유충이 논밭 등에서 농작업을 하거나
야외활동 중인 사람을 물어 균이 사람 몸속으로 침투해 발생한다.
지난해는 10월 중순 털진드기 발생이 급격히 증가해 11월 초에 가장 많이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고
쯔쯔가무시균 감염 환자 수는 잠복기(1∼3주) 간격을 두고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지난해 쯔쯔가무시증 환자의 53.1%가 농작업(농업, 텃밭 작업, 주말농장 포함) 중
진드기에 물려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고
올해에만 도내 71명의 환자가 발생해 농업인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현재까지 예방 백신이 없어 조기 진단과 적기 치료가 중요하며,
무엇보다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관리 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최선이다.
진드기의 주요 서식지인 수풀이 우거진 곳과 농작업 환경이 일치하기 때문에
진드기 예방을 위해 농작업 시 모자, 장갑, 장화를 착용하고 목수건, 토시 등으로 피부 노출을 완전히 차단해야 한다.
휴식 시에는 풀밭에 직접 앉지 말고 비닐이나 돗자리를 사용하고 기피제를 4시간마다 뿌려 차단하며
귀가 즉시 옷을 세탁하고 샤워하는 것이 좋다.
털진드기에 물렸을 때는 검은 딱지(가피)가 형성되고,
특히 습한부위인 복부, 가슴, 겨드랑이, 사타구니, 종아리 등에서 많이 발견되므로
농작업 후 반드시 몸을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
농작업이나 야외활동 이후 2주 이내 고열(38∼40℃)이나 소화기 증상(식욕 부진, 구토, 설사 등)이 있으면
즉시 보건소나 의료기관을 방문해 감염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김초희 도 농업기술원 농업안전팀장은
“진드기 매개 감염병 최고의 예방은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므로
예방수칙을 숙지해 현장에서 안전한 농작업을 해야 한다”라며
“농작업 및 야외활동 후 발열, 구토 등 증상이 나타나면 감기나 소화불량으로 판단하지 말고
빨리 의료기관을 방문해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라고 말했다.
출처 : 뉴스서천(http://www.newssc.co.kr)
캄보디아 보건부, 급증하는 뎅기열 주의 요망
캄보디아 보건부의 국가 뎅기열 통제 프로그램(NDCP) 책임자인 랭 리티어에 따르면
캄보디아는 올해 첫 35주 동안 34명의 사망자를 포함해 약 2만 명의 뎅기열 환자가 발생했다.
이는 작년 동기대비 2배이상 증가한 수치이다.
보건부는 지난 4주간 환자가 감소했지만 여전히 상황은 안 좋다고 말하며
국민들에게 뎅기열에 대한 경계를 유지할 것을 촉구했다.
랭 리티어는 주로 장마철에 뎅기열 환자가 증가한다고 말하며
모기 박멸을 위한 캠페인을 통해 주택가에 살충제를 뿌리면서 감염 사례가 감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챙 라 보건부 장관은 9월 14일 성명을 통해 뎅기열의 발병이
5년 또는 6년 주기로 반복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하면서
대규모 발병을 막기 위해 국민에게 생활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하고 모기 번식지를 차단하는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25개 시·도 보건부서는 장관의 지시에 따라 지역 당국과 합동으로
가정, 학교 등에 기피제를 사용하는 감염 예방 조처를 했다.
렝 리티어는 “뎅기열은 성별, 나이에 상관없이 감염된다.
검증되지 않은 방법으로 자가치료를 하지 말고 의료진과 상담을 통하여
48시간 이전에 효과적인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우리나라 사람들중에 뎅기열하면 동남아시아 등 후진국에서 발생하는 질병으로
치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아주 오만한 생각입니다,,
나무나,동물들도 서식지가 있듯이 곤충들에게도 주 분포지역이 있습니다
그것은 온도와 아주 밀접한것이지,,,빈부의 차이와는 상관이 없는 것입니다
캄보디아에서는 털진드기가 없습니다 ㅎㅎ
우리나라도 코로나 이후에 해외여행객이 급증하면서 뎅기열환자도 생기고 있습니다
동남아나 아열대 지방으로 여행을 하실때에는 반드시 모기기피제나 패치등을 가져가시기 바랍니다
늘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추석연휴도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캄보디아에서 조용히 지내기로 했습니다 ㅎ
'국내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상 속 ‘가을 소풍’가기 (3) | 2023.09.18 |
---|---|
떠나보자, 시원한 여름속으로∼ (1) | 2023.08.12 |